-
[iOS14 업데이트] 안드로이드와 아오스 UX/UI의 다른점UXUI 2020. 7. 29. 17:43
들어가며
아이폰의 os(operating system)는 iOS, 갤럭시폰의 os인 Android라고 합니다.
지난 6개월간 별별일기라는 어플리케이션을 iOS와 Android, 총 2가지 OS로 출시하며 배웠던
iOS와 Android의 다른 점에 대해 기록하며 복습하고, 이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.
(더 참고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주세요 ㅎㅎ)
과연 서비스를 2가지 OS (Android,iOS)를 기반으로 기획하고 디자인을 할 때에는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까요?
Android와 iOS에서 다른 점
간단히 말하면, OS에 따라서 디자인과 디폴트 기능이 다릅니다.
첫번째로, 디자인이 다릅니다.
- 화면사이즈가 다르고, OS별로 지향하는 상세 디자인이 다릅니다.
두번째로, 디폴트 기능이 다릅니다.
- OS별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개발 프로그램이 다르고, 개발 언어가 달라집니다.
이에 따라서 어떤 OS 개발인지에 따라서 간단하게 해결 가능한 부분(디폴트 기능)이 달라집니다.
1. 디자인 시 다른 점
- 화면 사이즈가 다르다.
UI 디자인을 할 때에는 보통 XD나, Sketch ,Figma로 작업을 많이 하실 것입니다. 이 때, 화면 사이즈를 대지라고 합니다.
바로 그 대지 사이즈가 달라집니다. 이는 OS별로 화면의 비율과 해상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.
-노치 디자인이 있고(iOS) 없다.(Android)
Notch의 사전적 의미는 'V자나 U자형으로 움푹 팬 자리'라고 합니다.
아이폰의 움푹 패인 화면 위쪽을 노치디자인이라고 합니다.
ios와 android는 이런 노치디자인의 유무에 따라 UI디자인도 다르게 되어야 합니다.
-UI 가이드라인이 다릅니다.
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 가이드
2. 디폴트 기능이 다른 점
-뒤로 가기 버튼이 없고(iOS) 있다.(Android)
-탭의 위치가 다를 때도 있다. (예시: 페이스북)
-토스트가 디폴트 기능이고(Android), 디폴트 기능이 아니다(iOS)
-슬라이드 삭제 시 기능이 다르다. (예시: 카카오톡)
-위젯이 다르다.
위젯 상세 내용 보기
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 가이드
-기본 날짜와 시간 설렉터가 다르다. (예시: 각 OS 가이드라인)마치며
하지만 Android OS와 iOS의 타임설렉터 디폴트가 다르다고 무조건 가이드에 맞춰야하는 것은 아닙니다.
개발 상의 용이함과 익숙한 UX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,
기획과 디자인 상의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면 서비스에 맞게 디폴트 기능을 충분히 변경 가능합니다.
(예시: 별별일기)
반응형'UXU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👨👩👧세상에 이런 해외여행이?! 마이리얼트립 랜선투어 후기 (3) 2021.01.13 UX/UI 프로세스 (0) 2021.01.10 기획에 빅데이터 활용하기 : 썸트렌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(0) 2020.06.24 언택트 서비스 기획 방법 : 구글 스프린트 3시간 안에 온라인으로 실행하기 (3) 2020.05.27 사이드 프로젝트로 처음 앱을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방법 (2)디자인 (0) 2020.04.10